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 용어 중 하나인 "선물"의 뜻을
예시를 들어 쉽게 설명 해드릴 건데요.
우선 선물이란 미래의 특정 시점에 특정 상품이나 자산을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거래하기로 약속하는 계약입니다.
이게 무슨 말인지 너무 어렵죠?
사과 농부와 상인을 예시로 들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주식 용어 선물 쉽게 알아보기
사과 농부와 상인의 이야기
먼저, 사과 농부와 상인의 예시를 들어볼게요.
농부는 사과를 재배하는 사람이고,
상인은 시장에서 사과를 판매하는 사람입니다.
봄에 농부는 가을에 수확할 사과가 많을 거라고 예상합니다.
하지만 가을이 되면 사과 가격이 어떻게 될지 모릅니다.
가격이 너무 떨어지면 농부는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상인은 가을에 사과가 많이 필요하지만,
가을이 되면 사과 가격이 너무 오를까 봐 걱정됩니다.
그래서 농부와 상인은 미리 약속을 합니다.
농부: "가을에 사과 100박스를 1박스당 10달러에 팔겠어요."
상인: "좋아요, 그 가격에 가을에 사과 100박스를 사겠어요."
이렇게 하면 농부는 가을에 사과 가격이 떨어져도
1박스당 10달러를 받을 수 있으니 안심하고,
상인도 가격이 올라가도 1박스당 10달러에
사과를 살 수 있으니 안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선물 계약입니다.
주식 선물 예시
투자자 A는 주식 가격이 오를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이고,
투자자 B는 주식 가격이 내릴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현재 A 회사의 주식 가격이 50달러입니다.
A와 B는 3개월 후에 A 회사의 주식 가격에 대해 선물 계약을 맺습니다.
투자자 A : "나는 3개월 후에 이 주식을 50달러에 살게."
투자자 B: "나는 3개월 후에 이 주식을 50달러에 팔게."
3개월 후에 실제 주식 가격이 60달러로 올랐다는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투자자 A는 50달러에 사서 60달러에 팔 수 있으니 10달러 이익을 봅니다.
투자자 B는 50달러에 팔아야 하니 10달러 손해를 봅니다.
반대로 주식 가격이 40달러로 떨어졌다는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투자자 A는 50달러에 사서 40달러에 팔아야 하니 10달러 손해를 봅니다.
투자자 B는 50달러에 팔아서 40달러에 사야 하니 10달러 이익을 봅니다.
이처럼 선물 거래는 미래의 가격을
미리 정해 놓고 거래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가격 변동에 대한 위험을 줄이거나,
투기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마치며
저는 선물 거래를 처음 들었을 때
주고 받는 선물(Gift)인 줄 알았습니다.
그래서 선물에 대한 뜻을 검색해서
찾아봤는데 봐도 이해하기가 어려웠어요.
그러다가 사과 농부와 상인의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가 됐습니다.
여러분들도 위의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하셨길 바랍니다.
앞으로 주식이나 다른 자산에 투자할 때
선물 거래도 고려해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거 같지만
주변에 손해를 본 지인들이 많기 때문에
여러분들은 정말 신중하게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주식 · 경제 ·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 용어 블록 체인 뜻 (1) | 2024.06.18 |
---|---|
주식 용어 공매도 뜻 초등학생도 이해 가능 (0) | 2024.06.17 |
경제용어 소비자 물가 지수 CPI 뜻 (0) | 2024.06.15 |
아이폰 애플 AI 챗GPT 공개 주가 (0) | 2024.06.13 |
주식 용어 ETF? 펀드? 투자방법? (2) | 2024.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