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 경제 · 경영

모르면 손해보는 주식 세금 공부

반응형

모르면 손해보는 주식 세금 공부

안녕하세요 여러분!

설마 여러분들 중에는

주식으로 열심히 벌어 놓고

세금은 하나도 신경 안쓰고

계시는 분 계신가요?

기본적인 세금 상식이 없으면

절세를 하기 어려울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주식 세금 중

제일 중요한 배당소득세, 종합소득세, 

증권거래세, 양도소득세

이 4가지를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모르면 손해보는 주식 세금 공부

반응형

목차

1. 주식을 보유할 때 내는 세금

  • 배당소득세
  • 종합소득세

2. 주식을 팔 때 내는 세금

  • 증권거래세
  • 양도소득세

3. 결론

 


1. 주식을 보유할 때 내는 세금

배당소득세

  • 주식 보유 중 배당소득이 발생하면 15.4%의 배당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 이미 세금을 공제한 후 배당을 받기 때문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 하지만, 이자와 배당으로 연 2천만 원을 넘게 벌면 종합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종합소득세

  • 이자와 배당을 포함한 총소득이 2천만 원을 초과하면,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 종합소득세율은 최소 6.6%에서 최대 49.5%까지 적용됩니다.
  • 배당을 월급처럼 받는 사람들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2. 주식을 팔 때 내는 세금

증권거래세

  • 주식을 매도할 때마다 내는 세금입니다.
  • 코스피, 코스닥 기준으로 매도 금액의 0.18%를 내야 합니다.
  • 단타 방지용으로 만든 세금이니 단타를 주로하신다면 손해를 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양도소득세

  • 주식을 팔아 이익을 얻으면 내는 세금입니다.
  • 국내 주식의 경우 대주주가 아닌 이상 양도소득세가 없습니다.
  • 해외 주식은 연 250만 원 이상의 이익에 대해 22%의 양도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 신고를 잊으면 불성실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결론

주식 투자 시 발생하는

세금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입니다.

배당소득세, 종합소득세,

증권거래세, 양도소득세 등의

세금 규정을 잘 숙지하고,

올바른 신고와 절세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식 투자를 통해

얻는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세금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주식 공부도, 세금 공부도 열심히

하시는 여러분이 되길 희망합니다!

반응형

'주식 · 경제 ·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상식 복리 뜻 개념  (0) 2024.07.27
경제 상식 용어 GDP 뜻  (0) 2024.07.26
주식 ISA 계좌 뜻 특징 혜택  (3) 2024.07.24
경제 상식 파레토의 법칙  (2) 2024.07.23
국내 주식 코스피 순위 TOP10  (3) 2024.07.22